Q. 지금의 기술로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시베리아의 얼음 속에서 발견된 맘모스들은 다행히 썩지 않은
완벽한 상태로 발견되곤 합니다. 물론 죽은 맘모스이지만 그 세
포 하나 하나의 핵은 온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
다. 따라서 맘모스와 가장 가까운 현재의 동물인 코끼리의 난자
에서 코끼리 핵을 제거하고 냉동된 맘모스 세포에서 분리한 핵
을 집어 넣어 이것을 다시 코끼리의 자궁에 착상 시켜 새끼를
발생시킨다면 비록 코끼리의 몸에서 태어났지만 유전적으로는
완전히 맘모스인 새끼가 태어날 수 있는 것이지요. 실제로 이
연구는 지금 수행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해서 맘모스 새끼가 태어나더라도 완벽히 선사시
대의 맘모스가 태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세포에는 미토콘
드리아가 있고 그것이 세포의 발전소라는 사실을 배운 적이 있
지요? 새롭게 탄생한 맘모스의 세포에도 미토콘드리아가 있지
만 이것은 수정란의 난자에서 유래되므로 결국 난자를 제공한
현대 코끼리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맘모스가 되는 것이지요.
온전한 맘모스의 미토콘드리아까지 확보하여 집어 넣을 수도 있
지만, 세포 내에는 코끼리의 미토콘드리아들과 섞여 공존하기
때문에 여러 세대를 거쳐야 순수한 맘모스 미토콘드리아를 갖
는 혈통을 확보하게 되는데, 그 동안에 맘모스는 환경조건이 맞
지 않아서 다시 멸종되고 말 것입니다.
공룡의 경우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손상되지 않은 핵을 구하기
가 불가능하므로 공룡의 유전자를 현대의 유사한 파충류 수정란
에 유전자 이식하여 공룡의 형질을 지닌 파충류를 만드는 것은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위의 경우 보다 훨씬 어렵
습니다. 예전의 맘모스의 핵 내의 DNA에 있었던 전체 유전자를
순서에 맞게 짜집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기 때문이지요. 영
화 쥐라기 공원에서 이렇게 하여 공룡을 복원하였는데 그것은
영화이기 때문이고 실제로 만약 새로운 생물이 태어난다면 그것
은 공룡의 형질을 일부 지닌 파충류가 될 것입니다.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교수 신정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