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통 금속은 탄성한계를 넘어서 변형을 주면 데우거나 식혀도
원래 형태로 돌아가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합금은 고온에서 적
당한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실온에서 변형한 후 다시 가열하면
원래 성형한 모양으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효과를 형상 기억 효과라고 하는데, 이는 합금이 주어
진 형상을 원자 배열로서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생긴다. 이러
한 효과는 확산에 의하지 않고 변태하는 합금에서 나타나는데,
고온의 모상원자배열이 저온에서의 변형 때도 기억되고 있다가
다시 고온이 되면 원래의 원자 배열로 재배열하는 것이다.
이 효과는 형상 회복과 동시에, 큰 힘이 발생한다. 힘이 발생하
기 때문에 형상 기억 합금은 감지 소자로서의 용도만이 아니라
기계 부품을 죄는 데 쓰거나, 열 엔진으로서 열 에너지를 위치
에너지나 운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데도 이용된다.
현재까지 이런 효과가 확인된 합금은 20여 가지인데 금은처럼
귀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13족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티타늄-니켈로 대표되는 금속 간 화합물로 대별된다.
1960년대 초 개발되어 현재 달 표면 안테나나 인공 위성 안테
나 재료로 사용되며, 화재 경보기나 방열기의 온도 제어에도 쓰
인다. 그밖에 전자기나 의료 용구, 에너지 개발 등에도 폭넓게
쓰이는데, 가격이 비싸다는 점과 동작 반복에 따른 성능 저하
가 문제로 지적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출 처 : [기타] 인터넷 : http://hanol.ms.kr/남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