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재채기 소리 뿐만 아니라 사람의 목소리는 다 다릅니다.
소리가 나오는데는 신체의 여러 부분이 기능을 하게 되는데 먼
저 혀와 이, 입술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입안의 구조, 코
의 구조, 목구멍의 구조, 들숨과 날숨에 따라 또 달라지죠.
그러니까 하찮게 생각하는 발음 하나도 사실은 신체의 많은 부
분이 각각 기능을 담당해서 나온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혀가 짧은 사람은 혀짧은 소리를 내고 이가 하나 빠지면 발음
이 새어 나가서 치음을 내게 되고 코가 막히면 코맹맹이 소리
를 내고 목구멍이 아프면 소리가 달라지고 입안 구조가 이상하
면 또 그에 상응하는 이상한 소리를 내죠.숨을 많이 내쉴 때도
소리가 다르고 적게 들이쉴 때도 달라집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같은 사람이 같은 발음을 한다고 해도 같은 소
리는 절대로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죠. 그만큼 복잡하게 소리
가 형성된다는 말입니다.따라서 기침이나 재채기도 똑 같은 방
식으로 설명이 가능해집니다. 소리가 나는 각 부분이 비슷하게
작용할 테니까요.
사람의 얼굴이 같은 사람이 절대 없는 것처럼, 지문이 같은 사
람이 절대 없는 것처럼 소리가 같은 사람도 절대 있을 수 없답
니다.
네이버 오픈사전 ecnoon님의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