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가 생활하면서 공기 중에 수중기가 있다는 것을 느끼면서 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비 오기 전후나 여름
철 끈적끈적한 날에는 습하다고 생각하게 되지요.
공기 중의 물은 바다, 강, 호수, 지면, 수목 등에서 증발한 것인데 넓고 물이 많은 바다에서 가장 많은 양의 물
이 증발한다고 합니다.
지구면을 뒤덮고 있는 구름의 양은 낮은 곳에 떠 있는 것만해도 지구 표면의 약 30%를 덮고 있습니다. 지구
를 둘러싼 대기 전체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평균량을 물로 환산해보면 두께가 약 26mm가 됩니다. 지구
의 표면이 2.6cm깊이의 물로 덮여 있는 셈인데 그 전체 질량을 계산하면 13조t이나 되는 분량이라고 합니다.
또 바다 표면에서 1년 동안 증발하는 수증기량이 약 1m정도의 높이가 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평균을 말하는
것이도 실제로 대기 속에 포함된 수증기 양은 때와 장소에 따라 끊임없이 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