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되어 페가수스가 머리 위를 날게 될 때면 이미 가을은 훌쩍 지나고 있답니다. 오늘은 가을철 별자리의 마지막으로 물병자리에 대해 소개해 드릴께요. 페가수스자리의 남쪽 아래로 희미한 별들이 모여 있는 상당히 넓은 공간이 있는 데 이곳이 바로 물병자리가 위치하는 곳이랍니다. 물병자리에는 행운의 별들이 많이 모여 있다고 전해지고 있어요.
오늘 소개할 안드로메다자리는 봄철의 남쪽하늘에 보았던 처녀자리와 더불어 하늘에 있는 별자리 중 두 개뿐인 숙녀의 별자리입니다. 깊어가는 가을날 페가수스의 사각형이 떠오르면 그를 뒤따라 밝은 2등성들이 주변의 희미한 별들과 함께 이디오피아의 공주 안드로메다의 별자리를 만든답니다.
여름 밤 머리 위로 흐르는 아름다운 은하수를 이제는 잘 볼 수 없게 되었어요. 직녀와 견우를 갈라놓은 밤하늘의 은하수는 도시를 벗어나 조금만 교외로 나가면 아직도 은하수의 멋진 낭만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될 거에요. 오늘은 직녀별로 잘 알려진 여름의 아름다운 별자리 거문고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추운 겨울이 되고 대지가 숨을 쉬기 시작할 무렵 밤하늘의 모습도 서서히 봄을 준비하고 있답니다. 겨울철 화려한 1등성들의 향연이 끝나가고 새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별자리인 백수의 왕 사자자리가 그 모습을 드러낸답니다. 동쪽하늘에 사자자리가 보이기 시작하면 하늘은 큰 동물원을 옮겨다 놓은 것 같은 느낌을 준답니다.
밤하늘에는 멍멍이가 세 마리 살고 있답니다. 큰개자리, 작은개자리, 사냥개자리가 그 주인공이죠. 그 중에서 프로키온이라는 아름다운 별을 가지고 있는 작은개자리는 그 아름다운 빛으로 인해 겨울철 별자리에서도 찾기 쉬운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별자리랍니다. 작은개를 찾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아요.
에리다누스자리는 특별한 모양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별들이 서로 길게 연결되어 있어 약간만 주의하면 쉽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랍니다. 에리다누스 자리는 겨울철 별자리가 잘 보이는 한겨울 자정쯤에 하늘의 오리온 자리 오른쪽 아래인 리겔 근처에서부터 서쪽과 남쪽으로 굽이굽이 흐르는 별들을 이어 내려가면 된답니다.